≣ 목차
철근의 중요성
철근은 구조물의 안전과 내구성을 보장하는 핵심 보강재로써, 현대 건설의 필수 요소입니다. 철근 없이는 오늘날의 고층 건물, 교량, 터널, 댐 등 대규모 건축물을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 철근은 콘크리트가 균열 없이 안정적으로 하중을 분산하도록 돕습니다. 만약 철근이 없으면 콘크리트는 하중이 집중되는 곳에서 쉽게 깨지거나 갈라지게 됩니다.
- 구조물의 전체적인 안전성: 콘크리트와 철근이 함께 있을 때, 양쪽의 강점이 결합되어 구조물은 더욱 튼튼해지고, 여러 외부 요인(지진, 바람 등)에도 안전하게 버틸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와 철근의 특성 차이
- 콘크리트는 압축(눌리는 힘)에는 강하지만 인장(당기는 힘)에는 약합니다. 쉽게 말해, 콘크리트는 눌리거나 압축되는 힘을 잘 버티지만, 당겨지는 힘에는 쉽게 깨지거나 갈라질 수 있습니다.
- 철근은 인장에 강합니다. 즉, 철근은 당겨지는 힘을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철근을 넣으면, 두 가지 강점이 합쳐져 구조물의 강도가 훨씬 좋아집니다.
철근 단위중량표(공식)
- 철근의 단위중량은 구조 설계 및 시공 시 필요한 철근의 양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 철근의 길이와 지름을 기준으로 필요한 무게를 계산하고, 총량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 이 표는 철근을 구매하거나 현장에서 필요한 철근의 무게를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공식
- 는 철근의 지름 (mm),
- 밀도는 철의 밀도로 약 7,850 kg/m³입니다.
예를 들어, 10mm 철근의 단위중량을 계산하면,
철근 가격 단가표
철근의 가격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근의 규격, 수급 상황, 시장 변동성 등이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며, 도매와 소매 가격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철근 가격 단가 (2024년 기준, 참고용)
고장력 철근(SD400, SD500 등)의 가격은 2024년 기준 톤당 70만 원대 후반에서 80만 원대 초반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즉시 현금 결제 시 유통가 기준이며, 규격, 강종, 배송 조건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로 철근의 가격은 1톤(1,000kg) 기준으로 나타냅니다. 최신 가격은 수시로 변동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격 범위를 참고용으로 제시하겠습니다.
- 이 수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D400 및 SD500 철근 기준입니다.
- 실제 중량은 제조사의 공정 오차나 표면의 녹 등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단위 중량은 건설 현장에서 철근의 수량 및 총 중량 계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철근 D별 중량 계산식
13mm 철근의 단위중량을 계산하는 공식
- 밀도는 약 7,850 kg/m³입니다.
따라서, 13mm 철근의 단위중량은 약 1.043 kg/m입니다.
철근 단위중량 계산 (1m 길이당 무게)
철근은 단순히 콘크리트의 보강재가 아니라, 콘크리트가 약한 인장력을 보완하고 구조물의 안전과 내구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철근이 없으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고층 건물, 교량, 도로 등의 대형 구조물은 존재할 수 없으며, 이는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철근 단위중량, 철근 단위중량표, 철근 가격, 철근 가격 단가표, 철근 규격, 철근 피복두께, 13mm 철근 가격, d16 철근, d22 철근, frp 철근, h 철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