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인 미만 사업장 근로 기준법 (ft. 퇴직금, 주휴수당, 월연차)

by 채움블로그 2025. 3. 13.
반응형

5인 미만 사업장 근로 기준법 

 

많은 사람들이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나요?'라고 질문하는데, 사실은 대부분의 규정이 적용된답니다. 다만, 몇 가지 예외 사항이 있어요,

1. 근로시간, 휴게시간

5인 미만 사업장도 근로시간은 기본적으로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어요. 그리고, 근로시간이 4시간을 넘는 경우에는 반드시 30분 이상의 휴게시간을 제공해야 해요. 이 부분은 5인 이상 사업장과 동일하죠.

그렇다면, 근로자들은 일을 하고 나서 휴식을 제대로 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휴게시간을 놓치지 말고 잘 챙겨야겠죠?

2. 연차 유급휴가

근로기준법에서는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한다고 해요. 5인 미만 사업장이라도 이 규정은 똑같이 적용돼요. 다만, 1년 미만 근무자는 연차를 받을 수 없다는 것...

 

연차 휴가는 근로자에게 꼭 필요한 휴식이기 때문에, 근로자가 이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사업주와 협의가 필요합니다.

3. 임금

5인 미만 사업장이라도 최저임금은 반드시 지켜야 해요. 법적으로 정해진 최저임금 미만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것은 불법이에요. 따라서, 급여가 제대로 지급되는지 항상 체크하는 게 중요하죠. 혹시 임금에 문제가 생기면, 근로자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답니다.

4. 해고

5인 미만 사업장이라도 해고 시에는 사유와 절차가 적법해야 해요.

불법 해고가 발생하면, 근로자는 부당해고로 처벌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은 주의해야 해요.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해고 조건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사전 통지: 해고 전에 근로자에게 충분한 사전 통지가 필요해요. 최소한 30일 전에 통지해야 해요. 만약 사전 통지를 하지 않으면 근로자는 30일 치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서면 통지: 해고의 사유와 날짜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해요. 구두로 해고를 통보하는 것은 불법이에요.
  • 부당해고 구제신청: 만약 근로자가 해고를 부당하다고 느낀다면, 고용노동부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어요. 고용노동부는 해당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단하면, 복직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최소한 30일 전에 통지

  • 30일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해고 예고를 받아야 하며, 만약 예고를 하지 않으면 30일 치 임금을 예고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 30일 미만 근무한 경우, 해고 예고를 3일 전에 해야 하며, 예고 없이 해고하면 3일 치 임금을 예고수당으로 지급해야 해요.

 

5. 산재보험, 건강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은 필수로 가입해야 해요. 이건 근로자가 다치거나 아플 때를 대비한 안전망이기 때문에, 사업주는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가입을 하지 않으면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어요.

근로자들의 안전을 지키는 일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6. 주휴 수당 (가장 중요한 예외 사항)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주휴 수당이 적용되지 않아요. 주휴 수당은 한 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데, 5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없답니다.

5인 미만 사업장 특수성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의 일부 규정이 예외로 적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임시공휴일에 관한 규정은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5인 미만 사업장도 임시공휴일에 대해 법적으로 휴일 근로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법을 잘 알고, 서로 존중하며 일하는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해요. 작은 사업장이라도 근로자의 권리는 소중하니, 꼭 체크해 보세요.

 

5인미만 사업장 연차휴가, 5인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5인미만 사업장 퇴직금, 5인미만 사업장 주휴수당, 5인미만 사업장 임시공휴일, 5인미만 사업장 법정 의무교육, 5인미만 사업장 휴업수당, 5인미만 사업장 야간수당, 5인미만 사업장 월차, 5인미만 사업장 연차수당

반응형

목차